안녕하세요.
클라이밍 로프를 구매할 때
확인가능한 정보들 중에서
"추락횟수"에 대해서
확인해볼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싱글로프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로프에 대한 UIAA기준은
https://than-today.tistory.com/12
[장비정보] UIAA 안전기준에 대하여-2(로프편)
안녕하세요. 암벽등반을 하시면서 많이 사시는 장비들 중 하나인 "로프" 로프에 적용되는 "UIAA 안전기준"과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다이나믹로프는 UIAA Standard 101과 EN892:2012+A1:2016(Europ
than-today.tistory.com
▲위 글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앞으로 설명할 내용에 대한
EN-892관련 이미지입니다.
추락횟수 테스트에 대해 알아보면
EN 892_2012 로프 세팅방법 이미지입니다.
싱글로프 기준 8자매듭에
80kg 추를 달아줍니다.
로프는 X그림처럼 고정시키고
지름 40mm 구멍이 뚤려져있는
폭10mm 철판으로
로프를 통과시킵니다.
(철판단면의 r값은 5mm입니다)
X포인트기준 로프길이는 2.8m로 합니다.
그상태에서 추를 구멍기준 2.3m 위로
올린다음 떨어뜨립니다.
그렇게 하면 추락계수는 1.71이 됩니다.
추락계수는
추락길이 / 충격받는 로프길이
(2.3+2.5) / (2.5+0.3) 입니다.
그렇게 5분간격으로
동일하게 테스트를 해서
로프가 버티는 추락횟수를
제품정보에 적어둡니다.
그리고 이 테스트에서
추를 떨어뜨렸을 당시의 충격력은
UIAA기준 12kN 이하입니다.
해당 로프의 충격력도
제품정보에 같이 기재합니다.
위 내용에서 언급된
추락계수에 대해 알아보면
추락계수에 대한 샘플이미지입니다.
추락길이 / 로프길이
로 계산이 되는거고
추가로 다이나믹신장률에 의한
로프의 늘어남으로
실질적인 총 추락거리가 나오게 됩니다.
이때 로프길이가 길수록
신장률에 의한 늘어나는 정도가
더 커지기때문에
총 추락거리는 더 길어집니다.
요약을 하자면
추락횟수는
"몸무게 80kg인 사람이
5분간격으로 추락을 할 경우
로프가 버틸 수 있는 횟수"
추락횟수에 대한 테스트내용에 따르면
외벽이나 자연에서 일어나는
추락상황 중 충격력이
제일 큰 경우의 수를 기준잡은 것 같습니다.
외벽은 퀵드로우 간격이 1m이므로
퀵을 하나 못걸고 올라갔을 경우
대략 2m정도라 가정한다면
테스트의 2.3m높이와 비슷합니다.
2개 퀵을 못걸고 올라가는 경우는
엄청 드물꺼라 생각합니다.
등반을 할 경우,
추락 후 텐션을 받고
트라이를 계속 하는 분들이라면
추락횟수가 좀 높은 것을 선택하고
그것이 아니라
로프방향을 돌려가면서
로프에 회복시간을 가지고
등반을 하는 경우라면
추락횟수가 좀 낮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의견으로
이번 글을 마무리합니다.
'클라이밍 정보 > - UIAA안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비정보] UIAA 안전기준에 대하여-4(하네스편) (0) | 2023.09.16 |
---|---|
[장비정보] UIAA 안전기준에 대하여-3(카라비너편) (0) | 2023.09.13 |
[장비정보] UIAA 안전기준에 대하여-2(로프편) (0) | 2023.08.25 |
[장비정보] UIAA 안전기준에 대하여-1 (0) | 202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