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두번째 UIAA 안전기준에 관해 알아볼 장비는 "카라비너"입니다.
카라비너에 적용되는 "UIAA 안전기준"에 대해 안내하고자 합니다.
카라비너는 UIAA Standard 121과 EN12275:2013(European Standard)을 기준으로 합니다.
아래 내용은 위 두 기준에 근거하여 내용검증을 확인하였으며, 용어설명 중 기술적인 부분은 출처참조바랍니다.
필자가 이해되지않거나, 혹은 두 기준에서 확인되지 않은 내용은 제외하고 작성하였습니다.
UIAA기준 실험방식에 대한 기술은 추후 별도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카라비너편은 저도 공부하면서 했는데..리드용 이외의 카라비너들도 있어서 잘 모르는 것들도 많습니다.
부족한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들은 댓글로 적어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1. 카라비너의 종류 - EN 12275 표기에 따른 구분
1) 기본 카라비너(Basic Connector)
- 빌레이 시스템 어디에서나 사용할수 있는 일반적인 카라비너.
2) HMS 카라비너(HMS Connector)
- 배(과일) 모양을 한 카라비너로 잠금장치가 달려있어서 사용시, 카라비너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 다이나믹 빌레이를 보기위해 설계된 카라비너이다.(예를 들어, 이탈리아 히치(하프 클로브 히치))
3) 클래터 스티그 카라비너(Klettersteig Connector)
- 비아 페라타(클래터 스티그 시스템)에 등산객이 오를 때, 주로 사용하게 설계된 카라비너이다.
4) Termination Connector
-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하중을 확보하기 위한 카라비너
5) 특정앵커 카라비너 (Specific Anchor Connector)
- 특정 종류의 앵커(볼트)에만 직접 연결되도록 설계된 카라비너
6) 나사식 폐쇄 카라비너 (Screwed-Closure Connector-Quicklink)
- 나사를 완전히 조였을 때, 나사식 폐쇄게이트가 잠겨 전체적으로 하중지지가 가능해지는 카라비너.
7) 타원 카라비너 (Oval Connector)
- 보조 등반 및 도르레와 같은 용도로 설계된 대칭 형상의 카라비
2. 디자인관련 안전요구사항
- 클래터 스티그 카라비너는 최소 21mm 게이트오픈폭을 확보해야 합니다.
- 기본 카라비너, HMS 카라비너, Termination 카라비너, 타원카라비너는 최소 15mm 게이트오픈폭을 확보해야 합니다.
그리고 11mm 로프 2개가 들어가도 게이트의 움직임에 간섭이 없어야 합니다.
- 게이트는 안쪽으로만 열려야하며, 최대 20˚까지만 열려야 합니다.
- 잠금장치는 게이트를 열기위해 최소한 두가지의 행위를 필요로 하게 디자인되어야 합니다.
3. 인장강도 안전기준
1) 장비 표기방법
좌 : 제조사, 제조국, 제조년월
우 : CE 식별부호, 주축 인장강도, 부차축 인장강도, 게이트열림 인장강도, 카라비너 타입, 설명서 픽토그램
2) 인장강도 UIAA 기준
카라비너 타입 | 카라비너 종류 | 주축인장강도 | 부차축인장강도 | 게이트열림 인장강도 |
B | Basic Connector | 20 | 7a | 7 |
H | HMS Connector | 20 | 6a | 7 |
K | Klettersteig Connector | 20 | 8 | 7b |
T | Termination Connector | 20 | 7a | - |
A | Specific Anchor Connector |
20 | 7a | - |
Q | Screwed-Closure Connector-Quicklink |
25 | - | 10 |
X | Oval Connector | 18 | 5a | 7 |
a : 자동잠금장치가 있을 경우, 요구하지않음 b : 카라비너의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 항상 요구함. |
'클라이밍 정보 > - UIAA안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비정보] 로프 추락횟수 테스트방법 및 추락계수 (0) | 2024.07.04 |
---|---|
[장비정보] UIAA 안전기준에 대하여-4(하네스편) (0) | 2023.09.16 |
[장비정보] UIAA 안전기준에 대하여-2(로프편) (0) | 2023.08.25 |
[장비정보] UIAA 안전기준에 대하여-1 (0) | 202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