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Lesser Climber의 등반일지/- Lesser의 장비실험일지2 [실험일지] 빌레이 디바이스와 로프의 관계에 대하여-2 1편에 이어서 그리그리+와 베르고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겠습니다. 앞서 내용을 다시한번 정리를 하겠습니다. 전제조건 1. 첫 퀵드로우, 마지막 퀵드로우에 걸리는 로프압박은 모든 디바이스가 동일하다. 2. 8자매듭과 그 앞에 걸리는 하중은 모든 디바이스가 동일하다. 3. 앞의 1, 2의 조건에 의해 디바이스, 빌레이 카라비너에 걸리는 로프압박을 중점으로 파악한다. 테스트방법 총 4가지의 디바이스를 준비하여 실제 사람의 중량으로 텐션을 주기 전/후를 비교하여 1. 디바이스 내부에서 로프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에 대한 부위를 파악. 2. 로프 두께를 9.2mm, 9.8mm로 구분지어 압박의 정도를 파악. 테스트 디바이스 튜브, 파일럿, 그리그리+, 베르고 위 디바이스들의 선별은 단순하다. 내가 쓰는 디바이스들이기.. 2023. 9. 6. [실험일지] 빌레이 디바이스와 로프의 관계에 대하여-1 안녕하세요 Lesser Climber입니다. 첫 실험일지네요. 클라이밍을 하고 장비들을 사용하면서, 처음으로 들었던 호기심이었습니다. "My 로프" 에서 언급했었던 내용인데요, 표피이탈에 대한 문제였습니다. 처음으로 사용했던 매드락 9.8mm, 두번째 매드락9.2mm. 둘다 그리그리, 그리그리+, 베르고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당시 100kg정도의 제 추락을 하루에 몇 번씩 받아주었으며 다른 사람들의 톱로핑에서 많은 텐션을 견뎌낸 로프들이었습니다. 그리고 둘다 1년이 안되서 매드락 9.2mm는 2m정도를 잘라냈고, 매드락 9.8mm는 로프전체적인 외피이탈 및 속심손상으로 폐기되었습니다. 매드락 9.8mm의 로프전체적인 외피이탈 및 속심손상의 이유가 궁금하다가 빌레이를 보며 텐션을 주던 중, 로프가 많이 눌리.. 2023. 9. 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