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세번째 UIAA 안전기준에 관해 알아볼 장비는 "하네스"입니다.
하네스에 적용되는 "UIAA 안전기준"에 대해 안내하고자 합니다.
하네스는 UIAA Standard 105와 EN12277:2015(European Standard)을 기준으로 합니다.
아래 내용은 위 두 기준에 근거하여 내용검증을 확인하였으며, 용어설명 중 기술적인 부분은 출처참조바랍니다.
필자가 이해되지않거나, 혹은 두 기준에서 확인되지 않은 내용은 제외하고 작성하였습니다.
1. 하네스의 부위별 명칭
1) 허리벨트(Waistbelt)
2) 허리벨트 조절버클(Waistbelt adjustment buckle)
3) 탄력고정밴드(Keeper)
4) 타이-인 연결지점(브릿지)(Tie-in point(bridges))
5) 빌레이고리(Belay loop)
6) 다리고리(Leg loop)
7) 장비고리(Gear loop)
7bis) 세퍼레이터(Separator)
8) 신축성있는 다리고리줄(Leg loop elastics)
2. 하네스의 유형 - EN12277 표기에 따른 구분
1) 전신하네스(Full body harness - type A)
- 몸의 윗부분과 허벅지 주변에 꼭 맞는 하네스
- 의식없는 사람을 구조하거나 할 경우 사용할 수 있다.
2) 전신하네스S(Small body harness - type B)
- 40kg이하의 사람들이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신하네스
- 허리가 불편하거나 덜발달된 이들에게 적합하게 디자인되어있다.
3) 하단하네스(Sit harness - type C)
- 앉은 자세에서 의식있는 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허리벨트와 서브벨트 지지부형태를 디자인한 하네스
- 리드클라이밍하면서 주로 사용하는 하네스이다.
4) 상단하네스(Chest harness - type D)
- 가슴주위와 겨드랑이 아래쪽에 맞춰서 착용하는 하네스
- 하단하네스와 같이 사용가능하다.
3. 디자인관련 안전요구사항
1) 하네스벨트 최소폭 확보기준
- UIAA 안전기준
a 폭 최소 28mm : 전신하네스S, 상단하네스
a 폭 최소 43mm : 전신하네스, 하단하네스
b 폭 최소 23mm : 전신하네스S
b 폭 최소 28mm : 전신하네스, 상단하네스
2) 하네스 강도기준 - UIAA 안전기준
전신하네스 | 상단하네스 | 하단하네스 | |
![]() |
![]() |
![]() |
![]() |
전신하네스 : 15kN | 전신하네스 : 10kN | 10kN | 15kN |
전신하네스S : 10kN | 전신하네스S : 7kN |
- 장비고리는 UIAA기준과는 별도로 제조사제작으로 최대 5kg을 버틸수 있게 되어있다.
개인의견) 로프의 충격력에 비해 월등히 높은 강도를 버틸 수 있게 설계되어 있는 하네스 강도.
아무래도 비상시 하네스 하나에 두 명의 하중이 실리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어디에 걸리거나 하면서 순간적으로 많은 힘이 걸리거나 하는 것등에 대비한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을 해본다.
'클라이밍 정보 > - UIAA안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비정보] 로프 추락횟수 테스트방법 및 추락계수 (0) | 2024.07.04 |
---|---|
[장비정보] UIAA 안전기준에 대하여-3(카라비너편) (0) | 2023.09.13 |
[장비정보] UIAA 안전기준에 대하여-2(로프편) (0) | 2023.08.25 |
[장비정보] UIAA 안전기준에 대하여-1 (0) | 202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