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sser Climber의 등반일지/- Lesser의 장비실험일지

[실험일지] 빌레이 디바이스와 로프의 관계에 대하여-1

by Lesser Climber 2023. 9. 6.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Lesser Climber입니다.

첫 실험일지네요.

 

클라이밍을 하고 장비들을 사용하면서, 처음으로 들었던 호기심이었습니다.

"My 로프" 에서 언급했었던 내용인데요, 표피이탈에 대한 문제였습니다.

처음으로 사용했던 매드락 9.8mm, 두번째 매드락9.2mm.

둘다 그리그리, 그리그리+, 베르고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당시 100kg정도의 제 추락을 하루에 몇 번씩 받아주었으며

다른 사람들의 톱로핑에서 많은 텐션을 견뎌낸 로프들이었습니다.

그리고 둘다 1년이 안되서 매드락 9.2mm는 2m정도를 잘라냈고,

매드락 9.8mm는 로프전체적인 외피이탈 및 속심손상으로 폐기되었습니다.

 

매드락 9.8mm의 로프전체적인 외피이탈 및 속심손상의 이유가 궁금하다가

빌레이를 보며 텐션을 주던 중, 로프가 많이 눌리는 것을 보고

혹시 디바이스와 로프의 관계는 있지않을까? 하는 호기심에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전제조건

1. 첫 퀵드로우, 마지막 퀵드로우에 걸리는 로프압박은 모든 디바이스가 동일하다.

2. 8자매듭과 그 앞에 걸리는 하중은 모든 디바이스가 동일하다.

3. 앞의 1, 2의 조건에 의해 디바이스, 빌레이 카라비너에 걸리는 로프압박을 중점으로 파악한다.

 

테스트방법

총 4가지의 디바이스를 준비하여 실제 사람의 중량으로 텐션을 주기 전/후를 비교하여

1. 디바이스 내부에서 로프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에 대한 부위를 파악.

2. 로프 두께를 9.2mm, 9.8mm로 구분지어 압박의 정도를 파악.

 

테스트 디바이스

튜브, 파일럿, 그리그리+, 베르고

 

위 디바이스들의 선별은 단순하다.

내가 쓰는 디바이스들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동디바이스와 자동잠금디바이스의 비교를 위해서이다.

많은 클라이머가 쓰는 디바이스들이기에 테스트디바이스로 충분할 것으로 생각했다.


튜브 텐션유무/로프두께별 사진비교

튜브와 매드락 9.2mm 텐션없는 상태(측면, 윗면)
튜브와 매드락 9.2mm 텐션들어간 상태(측면, 윗면)
튜브와 매드락 9.8mm 텐션없는 상태(측면, 윗면)
튜브와 매드락 9.8mm 텐션들어간 상태(측면, 윗면)

1차 결론 - 튜브

1. 튜브는 빌레이 카라비너와 로프가 만나는 지점, "1 지점"에서 강한 압박을 받는다.

2. 로프 두께별 압박의 비율차이는 육안으로 크게 차이나지는 않는다.


파일럿 텐션유무/로프두께별 사진비교

파일럿과 매드락 9.2mm 텐션없는 상태(측면, 윗면)
파일럿과 매드락 9.2mm 텐션들어간 상태(측면, 윗면)
파일럿과 매드락 9.8mm 텐션없는 상태(측면, 윗면)
파일럿과 매드락 9.8mm 텐션들어간 상태(측면, 정면)

1차 결론 - 파일럿

1. 파일럿은 빌레이 카라비너와 로프가 만나는 지점, "1 지점"에서 강한 압박을 받는다.

2. 로프 두께별 압박의 비율차이는 육안으로 크게 차이나지는 않는다.

 

 


 

 

그리그리+와 베르고는 2편에 이어서 작성하겠습니다.

이번 실험일지는 전부 제가 가지고 있는 개인로프와 개인장비로 테스트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등반자의 안전을 위해 첫 퀵드로우는 바닥에서 1m위치에 설치하여 실험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